250926 TIL

2025. 9. 26. 18:10Courses/아이티윌 오라클 DBA 과정

파이썬 설치

https://www.python.org/

# 파이썬 버전 확인
python --version

# 설치된 모듈 목록 확인
pip list

VSCode 설치

https://code.visualstudio.com/

Python extension 설치

파이썬 모듈 설치

pip install numpy

pip install pandas

파이썬 기본 문법

1. 출력

 # print() 괄호 안의 내용을 콘솔창(터미널)에 출력하는 함수
print(123)      # 숫자
print('KOREA')  # 문자
print("대한민국")

# 한 줄 주석
"""
    여러 줄 주석
"""

2. 변수

print("상수와 변수")

"""
    데이터 타입 Data Type
    - 숫자형 : 정수(Integer), 실수(Float)
    - 문자형 : ' 또는 " 로 감싼다
    - 날짜형 : 년월일시분초
    - 논리형 : boolean형, 참(True) 또는 거짓(False)
    - 연속형 : 리스트, 딕셔너리, 튜플, 데이터프레임, 시리즈
"""

# 1. 숫자형
print(123)      # 양의 정수
print(-456)     # 음의 정수
print(1.3)      # 실수
print(-2.4)     
print(5.)
print(6.0)

# 2. 문자형
print('KOREA')
print("SEOUL")
print('1004')

# 3. 논리형
print(True)
print(False)
print("True")   # 문자형
print("False")  # 문자형
######################################

# 1) 상수 Constant
# -> 절대 변하지 않는 고정 불변의 값
print(3)
print(1.2)
print('A')
print("가")
print(True)

# 2) 변수 Variable
# -> 변하는 값
# -> 대입(저장) 연산자 =

"""
    식별자 : 변수명, 함수명, 클래스명, 모듈명 등
    식별자 작성규칙
    - 의미를 부여해서 영문자, 숫자 등을 조합해서 작성한다
    - 한글변수명, 첫 글자로 숫자, 예약어는 사용 불가
"""

a = 3
b = 1.2

print(a)    # 3
print(b)    # 1.2
print(a+b)  # 4.2
######################################

print("-" * 30)

# 성적 프로그램
name = "손흥민"
kor = 80
eng = 85
mat = 100

print(name)     # 손흥민
print(kor)      # 80
print(eng)      #85
print(mat)      #100

# 총점 구하기
total = kor + eng + mat
print(total)    # 265

# 평균 구하기
avg = total / 3
print(avg)      # 88.33333333333333

3. 포매팅

print("SEOUL")
print("\n")     # 줄바꿈
print("JEJU")
print("\n\n\n")
print("@\t@")   # 탭 @      @
print("\\")     # /
print("\"")     # "
print("\'")     # '
print('""')     # ""
print("''")     # ''
################################################

print("-" * 30)
"""
    %d 정수
    %f 실수
    %s 문자열
"""

print("나이 : %d" % 25)
print("키 : %f" % 178.9)
print("이름 : %s" % "손흥민")

print("%d년 %d월 %d일" % (2025, 9, 26))
print("%d년\n\n%d월\n%d일" % (2025, 9, 26))
################################################

print("-" * 30)

print("@%d@" % 123)     # @123@
print("@%5d@" % 123)    # @  123@
print("@%-5d@" % 123)   # @123  @    
print("@%05d@" % 123)   # @00123@

money = 123.456789
print("@%f@" % money)       # @123.456789@
print("@%10.3f@" % money)   # @   123.457@
print("@%-10.3f@" % money)  # @123.457   @
print("@%.3f@" % money)     # @123.457   @

print("@%s@" % "KOREA")     # @KOREA@
print("@%10s@" % "KOREA")   # @     KOREA@
print("@%-10s@" % "KOREA")  # @KOREA     @
################################################

print("-" * 30)

name = "손흥민"
kor = 80
eng = 85
mat = 100

total = kor + eng + mat
avg = total / 3

print("이름 : %s" % name)       # 이름 : 손흥민
print("국어 : %d" % kor)        # 국어 : 80
print("영어 : %d" % eng)        # 영어 : 85
print("수학 : %d" % mat)        # 수학 : 100
print("총점 : %d" % total)      # 총점 : 265
print("평균 : %.2f" % avg)      # 평균 : 88.33
################################################

print("-" * 30)

# 출력서식을 재활용할 수 있다
str = "%s 날짜는 %d년 %d월 %d일 입니다"
msg1 = str % ("정모", 2025, 9, 26)
print(msg1) # 정모 날짜는 2025년 9월 26일 입니다

msg2 = str % ("번개", 2025, 10, 26)
print(msg2) # 번개 날짜는 2025년 10월 26일 입니다
################################################

print("-" * 30)

# format() 함수
msg1 = "I eat {0} apples"
print(msg1.format(3))   # I eat 3 apples

msg2 = "{0}은 {1}년 {2}월 {3}일 입니다"
print(msg2.format("크리스마스", 2025, 12, 25))  # 크리스마스은 2025년 12월 25일 입니다

msg3 = "{}은 {}년 {}월 {}일 입니다"
print(msg3.format("추석", 2025, 10, 6))  # 추석은 2025년 10월 6일 입니다

msg4 = "{name}은 {yy}년 {mm}월 {dd}일 입니다"
print(msg4.format(name="크리스마스", yy=2025, mm=12, dd=25))    # 크리스마스은 2025년 12월 25일 입니다

msg5 = "{0}은 {1}년 {mm}월 {dd}일 입니다"
print(msg5.format("한글날", 2025, mm = 10, dd = 9)) # 한글날은 2025년 10월 9일 입니다

4. 연산자

# 연산자
# -> 이식성 풍부하다
# -> 산술, 비교, 논리연산자

# 1. 산술연산자
print(5+3)  # 더하기 8
print(5-3)  # 빼기 2
print(5*3)  # 곱하기 15
print(5/3)  # 나누기 1.6666666666666667
print(5//3) # 몫 1
print(5%3)  # 나머지 2

print(3/5)  # 0.6
print(3//5) # 0
print(3%5)  # 3
print(3**5) # 제곱 243
##########################################################

print("-" * 30)

# 2. 비교 연산자 (관계)
# -> 결과값이 논리형(참, 거짓)으로 반환
# -> 논리형(boolean) : True/False
print(3 < 5)    # 작다 True
print(3 > 5)    # 크다 False
print(3 <= 5)   # 작거나 같다 True
print(3 >= 5)   # 크거나 같다 False
print(3 == 5)   # 같다 False
print(3 != 5)   # 같지 않다 True
##########################################################

print("-" * 30)

# 3. 논리 연산자
# -> 조건이 2개 이상일 때 전체적으로 판단
# -> 결과 값이 논리형(참, 거짓)으로 반환된다
# -> and, or, not

## 1) and 연산자
## -> 그리고, ~이면서
## -> 모든 조건을 만족하면 True
print(True and True)    # True
print(True and False)   # False
print(False and True)   # False
print(False and False)  #False

## 2) or 연산자
## -> 또는, ~이거나
## -> 조건들 중에서 하나라도 True이면 True
print(True or True)     # True
print(True or False)    # True
print(False or True)    # True
print(False or False)   # False

## 3) not 연산자
## -> 부정 연산자, ~아니라면
flag = not(3 < 5)
print(flag) # False
##########################################################

print("-" * 30)

# 4) 할당 연산자
a = 1       # a = 1
a = a + 3   # a = 4
a += 3      # a = 7
print(a)

b = 3       # b = 3
b = b - 1   # b = 2
b -= 1      # b = 1
print(b)

c = 5       # c = 5
c = c * 2   # c = 10
c *= 2      # c = 20
print(c)

d = 7       # d = 7
d = d / 3   # d = 2.3333333333333335
d /= 3      # d = 0.7777777777777778
print(d)

'Courses > 아이티윌 오라클 DBA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1010 TIL  (0) 2025.10.10
251002 TIL  (0) 2025.10.02
251001 TIL  (0) 2025.10.01
250930 TIL  (0) 2025.09.30
250929 TIL  (0) 2025.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