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120 TIL
2025. 11. 20. 18:15ㆍCourses/아이티윌 오라클 DBA 과정
리눅스 명령어(Cont.)
CP(copy)
-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
[oracle@oracle ~]$ cp /home/oracle/test1/ex1.txt /home/oracle/test1/ex3.txt
[oracle@oracle ~]$ ls -l test1
total 12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2 ex1.txt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13 ex2.txt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4 ex3.txt
[oracle@oracle ~]$ cp ./test1/ex2.txt ./test1/ex4.txt
[oracle@oracle ~]$ ls -l test1
total 16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2 ex1.txt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13 ex2.txt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4 ex3.txt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15 ex4.txt- 위치만 지정하면 파일명 복사
[oracle@oracle ~]$ cp ./test1/ex1.txt ./test2/
[oracle@oracle ~]$ ls -l test2
total 4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7 ex1.txt
[oracle@oracle ~]$ cp ~/test1/ex2.txt ~/test2
[oracle@oracle ~]$ ls -l ~/test2
total 8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7 ex1.txt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20 ex2.txt- 디렉터리 안의 모든 내용을 다른 디렉터리로 복사
[oracle@oracle ~]$ cp ~/test1/* ~/test3
[oracle@oracle ~]$ ls -l test3
total 16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21 ex1.txt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21 ex2.txt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21 ex3.txt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21 ex4.txt-v: 복사 진행 상태를 화면에 출력
[oracle@oracle ~]$ cp -v /etc/bashrc ~/test2
‘/etc/bashrc’ -> ‘/home/oracle/test2/bashrc’-r: 디렉터리 복사
[oracle@oracle ~]$ cp -rv ./test1 ./test4
‘./test1’ -> ‘./test4’
‘./test1/ex1.txt’ -> ‘./test4/ex1.txt’
‘./test1/ex2.txt’ -> ‘./test4/ex2.txt’
‘./test1/ex3.txt’ -> ‘./test4/ex3.txt’
‘./test1/ex4.txt’ -> ‘./test4/ex4.txt’-i: 복사 대상 파일이 이미 해당 위치에 있다면 사용자에게 덮어 쓰기 여부를 묻고 복사
[oracle@oracle ~]$ cp -iv ./test1/ex1.txt ./test2/ex1.txt
cp: overwrite ‘./test2/ex1.txt’? n-f: 복사 대상 파일이 이미 해당 위치에 있다면 물어 보지 않고 복사
[oracle@oracle ~]$ cp -fv ./test1/ex1.txt ./test2/ex1.txt
‘./test1/ex1.txt’ -> ‘./test2/ex1.txt’-b: 복사 대상 파일이 이미 해당 위치에 있다면 백업 파일을 생성
[oracle@oracle ~]$ cp -bv ./test1/ex1.txt ./test2/ex1.txt
‘./test1/ex1.txt’ -> ‘./test2/ex1.txt’ (backup: ‘./test2/ex1.txt~’)-p: 복사할 때 복사 대상의 소유자, 그룹, 권한 등의 정보까지 복사-a: 원본 파일 속성 정보까지 모두 복사
# test2 ~ 4 안에 있는 ex1.txt 삭제
[oracle@oracle ~]$ rm -f ./test[2-4]/ex1.txt
[oracle@oracle ~]$ ls -R
.:
test1 test2 test3 test4
./test1:
ex1.txt ex2.txt ex3.txt ex4.txt
./test2:
bashrc ex1.txt~ ex2.txt
./test3:
ex2.txt ex3.txt ex4.txt
./test4:
ex2.txt ex3.txt ex4.txt
# test1의 ex1.txt를 test2로 복사
[oracle@oracle ~]$ cp -v ./test1/ex1.txt ./test2
‘./test1/ex1.txt’ -> ‘./test2/ex1.txt’
# test1 ~ 2에 있는 ex2.txt 파일 정보 조회
[oracle@oracle ~]$ ls -l ./test[1-2]/ex1.txt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2 ./test1/ex1.txt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56 ./test2/ex1.txt
# # test1의 ex1.txt를 test3로 속성 정보까지 같게 복사
[oracle@oracle ~]$ cp -av ./test1/ex1.txt ./test3
‘./test1/ex1.txt’ -> ‘./test3/ex1.txt’
# test1 ~ 3에 있는 ex2.txt 파일 정보 조회
[oracle@oracle ~]$ ls -l ./test[1-3]/ex1.txt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2 ./test1/ex1.txt
# 복사한 시간으로 저장됨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56 ./test2/ex1.txt
# test1의 ex1.txt와 같은 시간으로 저장됨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2 ./test3/ex1.txt mv(move)
- 파일을 이동하는 명령어
-i: 이동될 파일이 존재하면 덮어 쓰기 여부를 묻고 이동-v: 이동 진행 상태 출력
[oracle@oracle ~]$ mv -iv ./test1/ex1.txt ./test4
‘./test1/ex1.txt’ -> ‘./test4/ex1.txt’
[oracle@oracle ~]$ mv -iv ./test2/ex1.txt ./test4
mv: overwrite ‘./test4/ex1.txt’? n-f: 이동될 파일이 존재하면 덮어 쓰기-b: 이동될 파일이 존재하면 백업 파일을 생성
[oracle@oracle ~]$ mv -bv ./test3/ex1.txt ./test4
‘./test3/ex1.txt’ -> ‘./test4/ex1.txt’ (backup: ‘./test4/ex1.txt~’)- 폴더 이동
[oracle@oracle ~]$ mv test1 test2
[oracle@oracle ~]$ ls test2
bashrc ex1.txt ex1.txt~ ex2.txt test1
[oracle@oracle ~]$ mv test2/test1 .
[oracle@oracle ~]$ ls
test1 test2 test3 test4- 이름 수정
[oracle@oracle ~]$ mv ./test1/ex2.txt ./test1/date.txt
[oracle@oracle ~]$ ls -l ./test1
total 12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13 date.txt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4 ex3.txt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15 ex4.txtvi(visual editor)
- 문서 편집기
모드
- 명령 모드(command mode)
- vi 명령어로 편집기를 시작할 시 단축키를 사용하여 커서 이동, 수정, 삭제, 복사, 붙이기 등 다양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음
- 입력 모드에 진입한 후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오려면 ESC 키 사용
- 입력 모드(insert mode)
- 명령 모드 상태에서 입력 단축키를 이용하면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음
- 마지막 행 모드(last line mode)
- 마지막 행 모드는 명령 모드 상태일 때 :(콜론)을 입력하면 화면 맨 하단에 명령을 수행하는 모드
- 저장, 종료, 치환, 탐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
편집기
vi <파일명>: 편집기 시작:set nu: 라인 번호 출력:set nonu: 라인 번호 해지ESC→:→q: 편집기 나가기
커서 이동
- 지금은 방향키도 가능
h: 왼쪽j: 아래쪽k: 위쪽l: 오른쪽H: 현재 화면의 맨 위로 이동M: 현재 화면의 중간으로 이동L: 현재 화면의 맨 아래로 이동G: 문서 맨 아래로 이동1G: 숫자 라인으로 이동gg: 문서 첫 라인으로 이동^: 그 줄의 맨 앞으로 이동$: 그 줄의 맨 뒤로 이동+: 커서를 다음 행의 처음으로 이동-: 커서를 이전 행의 처음으로 이동w: 커서를 다음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b: 커서를 앞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e: 커서를 다음 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Ctrl + b: 페이지 업Ctrl + f: 페이지 다운Ctrl + u: 페이지 업(1/2)Ctrl + d: 페이지 다운(1/2)
문자열 검색
/<찾을문자>: 검색n: 검색된 다음 문자로 이동N: 검색된 이전 문자로 이동:noh: 검색 문자열 하이라이트 해지
입력 명령어
i: 커서의 왼쪽부터 입력a: 커서의 오른쪽부터 입력I: 커서의 줄 맨 왼쪽부터 입력A: 커서의 줄 맨 오른쪽부터 입력o: 커서의 다음줄부터 입력O: 커서의 이전줄부터 입력cw: 커서 위치의 단어를 지우고 입력s: 커서 위치의 한 글자를 지우고 입력S: 커서 위치 한 줄을 지우고 입력
삭제 명령어
x: 글자 하나 삭제dd: 한 행 삭제dw: 한 단어 삭제:2 d: 특정 행 삭제:1,4 d: 1~4번째 행 삭제D: 커서 오른쪽 행 삭제
취소 명령어
u : 작업 취소
대소문자 변환
~: 커서 위치 한 글자를 대소문자 변환, 대문자 → 소문자, 소문자 → 대문자gUU: 한 줄을 모두 대문자로 변환guu: 한 줄을 모두 소문자로 변환v: 선택 영역(블록)u:v로 선택된 부분 소문자로 변환U:v로 선택된 부분 대문자로 변환
복사 붙여넣기
yy: 커서의 행을 복사2yy: 커서부터 숫자(n)행만큼 복사p: 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커서) 이후에 붙여넣기P: 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커서) 이전에 붙여넣기:1,3 co 7: 1~3행 복사 후 7행 다음에 붙여넣기:1,2 m 3: 1~2행을 3행 다음으로 이동
문자열 검색 및 수정
:s/기존문자/새로운문자: 지금 커서가 있는 위치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기존 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변경:s/기존문자/새로운문자/g: 지금 커서가 있는 행의 기존 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전부 변경:%s/기존문자/새로운문자/g: 문서 전체에서 기존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전부 변경
파일 저장 및 종료
:q!: 저장하지 않고 종료:w: 저장:wq: 저장 후 종료
사용자
사용자 계정 정보
[root@oracle ~]# head -3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bin:x:1:1:bin:/bin:/sbin/nologin
daemon:x:2:2:daemon:/sbin:/sbin/nologin- 사용자이름:암호:사용자ID:사용자가 소속된 그룹ID:전체이름:홈디렉터리:기본셸
useradd, adduser
- 유저를 생성하는 명령어
[root@oracle ~]# useradd ora1
[root@oracle ~]# id ora1
uid=1001(ora1) gid=1001(ora1) groups=1001(ora1)
[root@oracle ~]# tail -1 /etc/passwd
ora1:x:1001:1001::/home/ora1:/bin/bash
[root@oracle ~]# tail -1 /etc/group
ora1:x:1001:[root@oracle ~]# adduser ora2
[root@oracle ~]# id ora2
uid=1002(ora2) gid=1002(ora2) groups=1002(ora2)
[root@oracle ~]# tail -1 /etc/passwd
ora2:x:1002:1002::/home/ora2:/bin/bash
[root@oracle ~]# tail -1 /etc/group
ora2:x:1002:passwd
- 비밀번호를 지정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어
[root@oracle ~]# passwd ora1
Changing password for user ora1.
New password:
BAD PASSWORD: The password is shorter than 8 characters
Retype new password: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root@oracle ~]# passwd ora2
Changing password for user ora2.
New password:
BAD PASSWORD: The password is shorter than 8 characters
Retype new password: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패스워드 관리 파일
[root@oracle ~]# cat /etc/shadow | grep -i oracle
oracle:$6$rqek2tRECQZbP9yq$p4w2TApIrQ0U5i3OeK7R1Y4ZxBjKf32pvHlN0GS9Po15O3nj60PsQMCeh15YJ79W8n7GaXEeqdo/brBk/AlRN0::0:99999:7:::- /etc/shadow 에 암호화되어 관리됨
userdel
- 유저 삭제
[root@oracle ~]# userdel -rf ora2-r: 유저에게 할당된 모든 파일, 디렉터리 삭제-f: 유저가 접속되어 있더라도 kill 시킨 후 삭제
그룹(group)
- 사용자를 하나로 묶어 관리 가능하게 하는 기능으로 모든 사용자는 그룹에 속하도록 되어있음
- 사용자를 그룹을 통하여 관리하면 각 그룹에게 보안 설정, 접근 설정, 권한 등을 주고 일괄적으로 그룹에 속한 사용자에게 적용
그룹 정보
[root@oracle ~]# head -3 /etc/group
root:x:0:
bin:x:1:
daemon:x:2:- 그룹이름:비밀번호:그룹ID:그룹에 속한 유저
groups
- 현재 사용자의 그룹 조회
[root@oracle ~]# groups
root
[ora1@oracle ~]$ groups
ora1groupadd
-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
[root@oracle ~]# groupadd oinstall
[root@oracle ~]# groupadd -g 2000 dba
[root@oracle ~]# groupadd -g 2001 oper
[root@oracle ~]# tail -3 /etc/group
oinstall:x:1002:
dba:x:2000:
oper:x:2001:groupmod
- 그룹 이름, 그룹 ID를 변경하는 명령어
# 그룹 이름 변경
[root@oracle ~]# groupmod -n dbaoper oper
[root@oracle ~]# tail -1 /etc/group
dbaoper:x:2001:
[root@oracle ~]# groupmod -n oper dbaoper
[root@oracle ~]# tail -1 /etc/group
oper:x:2001:
# 그룹 아이디 변경
[root@oracle ~]# groupmod -g 2002 oinstall
[root@oracle ~]# tail -3 /etc/group
oinstall:x:2002:
dba:x:2000:
oper:x:2001:usermod
- 유저 그룹 변경
[root@oracle ~]# usermod -g oinstall -G dba,oper oracle
[root@oracle ~]# id oracle
uid=1000(oracle) gid=2002(oinstall) groups=2002(oinstall),2000(dba),2001(oper)-g: 1차 그룹-G: 2차 그룹- 유저 생성 시 그룹 설정
[root@oracle ~]# useradd -g oinstall -G dba,oper ora2
[root@oracle ~]# id ora2
uid=1002(ora2) gid=2002(oinstall) groups=2002(oinstall),2000(dba),2001(oper)groupdel
- 그룹을 삭제하는 명령어
[root@oracle ~]# groupdel dba
[root@oracle ~]# id oracle
uid=1000(oracle) gid=2002(oinstall) groups=2002(oinstall),2001(oper)
[root@oracle ~]# id ora2
uid=1002(ora2) gid=2002(oinstall) groups=2002(oinstall),2001(oper)
[root@oracle ~]# groupdel oper
[root@oracle ~]# id oracle
uid=1000(oracle) gid=2002(oinstall) groups=2002(oinstall)
[root@oracle ~]# id ora2
uid=1002(ora2) gid=2002(oinstall) groups=2002(oinstall)
[root@oracle ~]# groupdel oinstall
groupdel: cannot remove the primary group of user 'oracle'- 1차 그룹은 삭제 불가 → 오류 발생
[root@oracle ~]# usermod -g oracle oracle
[root@oracle ~]# id oracle
uid=1000(oracle) gid=1000(oracle) groups=1000(oracle)
[root@oracle ~]# usermod -g ora2 ora2
usermod: group 'ora2' does not exist
[root@oracle ~]# groupadd ora2
[root@oracle ~]# usermod -g ora2 ora2
[root@oracle ~]# id ora2
uid=1002(ora2) gid=2003(ora2) groups=2003(ora2)
groupdel: group 'oinsatll' does not exist
[root@oracle ~]# groupdel oinstall파일 접근 권한 관리
-rw-rw-r--. 1 oracle oracle 76 Nov 19 22:08 dbe.txt권한 종류
- 읽기(read)
- 쓰기(write)
- 실행(execute)
| 권한 | 대표문자 | 파일 | 디렉터리 |
|---|---|---|---|
| 읽기 | r | 읽기, copy | 디렉터리에서 ls 실행 가능 |
| 쓰기 | w | 수정 | 디렉터리에서 파일 생성 |
| 실행 | x | shell script 실행 | 디렉터리에 cd 접근 가능 |
파일 유형
- 파일이 어떤 종류인지 확인
-: 파일d: 디렉터리b: 블록 디바이스(block device) 장치 :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DVD 저장장치c: 문자 디바이스(character device) 장치 :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등의 입출력장치l: 링크(link) : 실제 파일은 다른 곳에 존재한다는 의미(윈도우 바로 가기)
파일 권한
- 파일의 소유자 권한
- 그룹 권한
- 기타 사용자 권한
chmod
- 권한을 수정하는 명령어
u: 유저g: 그룹o: 기타 유저a: 전체r: read( 읽기)w: write(쓰기)x: execute(실행)+: 권한 부여-: 권한 회수=: 권한 설정
[oracle@oracle ~]$ ls -l
total 4
-rw-rw-r--. 1 oracle oracle 76 Nov 19 22:08 dbe.txt
# 사용자에게 dbe.txt 파일 실행 권한 부여
[oracle@oracle ~]$ chmod u+x dbe.txt
[oracle@oracle ~]$ ls -l
total 4
-rwxrw-r--. 1 oracle oracle 76 Nov 19 22:08 dbe.txt
# 사용자로부터 dbe.txt 파일 실행 권한 회수
[oracle@oracle ~]$ chmod u-x dbe.txt
[oracle@oracle ~]$ ls -l
total 4
-rw-rw-r--. 1 oracle oracle 76 Nov 19 22:08 dbe.txt
# 파일이 속한 그룹으로부터 dbe.txt 파일 쓰기 권한 회수
[oracle@oracle ~]$ chmod g-w dbe.txt
[oracle@oracle ~]$ ls -l
total 4
-rw-r--r--. 1 oracle oracle 76 Nov 19 22:08 dbe.txt
# 모든 대상으로부터 dbe.txt 파일 읽기, 쓰기, 실행 권한 회수
[oracle@oracle ~]$ chmod a-rwx dbe.txt
[oracle@oracle ~]$ ls -l
total 4
----------. 1 oracle oracle 76 Nov 19 22:08 dbe.txt
# dbe.txt 파일에 대한 읽기 권한이 없으므로 cat 불가
[oracle@oracle ~]$ cat dbe.txt
cat: dbe.txt: Permission denied
# dbe.txt 파일에 대한 읽기 권한을 부여했으므로 cat 가능
[oracle@oracle ~]$ chmod u+r dbe.txt
[oracle@oracle ~]$ cat dbe.txt
SQL
PLSQL
ADMINISTRATIN
BACKUP & RECOVERY
PERFORMANCE TUNING
SQL TUNING
RAC# /home/oracle/dbe.txt 는 기타 사용자에게도 읽기 권한이 있지만 접근 불가
[ora1@oracle ~]$ ls -l /home/oracle
ls: cannot access /home/oracle/test2: Permission denied
ls: cannot access /home/oracle/test3: Permission denied
ls: cannot access /home/oracle/test4: Permission denied
ls: cannot access /home/oracle/test1: Permission denied
ls: cannot access /home/oracle/dbe.txt: Permission denied
total 0
-????????? ? ? ? ? ? dbe.txt
d????????? ? ? ? ? ? test1
d????????? ? ? ? ? ? test2
d????????? ? ? ? ? ? test3
d????????? ? ? ? ? ? test4
[ora1@oracle ~]$ cat /home/oracle/dbe.txt
cat: /home/oracle/dbe.txt: Permission denied
[ora1@oracle ~]$ su - root
Password:
Last login: Thu Nov 20 00:56:29 KST 2025 on pts/1
# /home/oracle 디렉터리는 기타 사용자에 대한 실행 권한이 없음
[root@oracle ~]# ls -l /home
total 8
drwx------. 5 ora1 ora1 4096 Nov 19 23:34 ora1
drwx------. 3 ora2 ora2 78 Nov 19 23:58 ora2
drwx---r--. 9 oracle oracle 4096 Nov 19 23:23 oracle
# /home/oracle 디렉터리에 기타 사용자에 대한 실행 권한 부여
[root@oracle ~]# chmod o+x /home/oracle
[root@oracle ~]# ls -l /home
total 8
drwx------. 5 ora1 ora1 4096 Nov 19 23:34 ora1
drwx------. 3 ora2 ora2 78 Nov 19 23:58 ora2
drwx---r-x. 9 oracle oracle 4096 Nov 19 23:23 oracle
[root@oracle ~]# su - ora1
Last login: Thu Nov 20 00:57:01 KST 2025 on pts/1
# ora1 계정에서 /home/oracle 디렉터리 접근 가능
[ora1@oracle ~]$ ls -l /home/oracle
total 4
-r--r--r--. 1 oracle oracle 76 Nov 19 22:08 dbe.txt
drwxrwxr-x. 2 oracle oracle 52 Nov 19 19:09 test1
drwxrwxr-x. 2 oracle oracle 66 Nov 19 19:08 test2
drwxrwxr-x. 2 oracle oracle 51 Nov 19 19:05 test3
drwxrwxr-x. 2 oracle oracle 37 Nov 19 19:05 test4
# /home/oracle/dbe.txt 파일 읽기 가능
[ora1@oracle ~]$ cat /home/oracle/dbe.txt
SQL
PLSQL
ADMINISTRATIN
BACKUP & RECOVERY
PERFORMANCE TUNING
SQL TUNING
RAC# 사용자로부터 test1 디렉터리에 대한 쓰기 및 실행 권한 회수
[oracle@oracle ~]$ chmod u-wx test1
[oracle@oracle ~]$ ls -l
total 4
-rw-rw-rw-. 1 oracle oracle 76 Nov 19 22:08 dbe.txt
dr--------. 2 oracle oracle 52 Nov 20 01:42 test1
drwxrwxr-x. 2 oracle oracle 66 Nov 19 19:08 test2
drwxrwxr-x. 2 oracle oracle 51 Nov 19 19:05 test3
drwxrwxr-x. 2 oracle oracle 37 Nov 19 19:05 test4
# test1 디렉터리 접근 불가
[oracle@oracle ~]$ ls -l test1
ls: cannot access test1/ex3.txt: Permission denied
ls: cannot access test1/ex4.txt: Permission denied
ls: cannot access test1/date.txt: Permission denied
total 0
-????????? ? ? ? ? ? date.txt
-????????? ? ? ? ? ? ex3.txt
-????????? ? ? ? ? ? ex4.txt
# 사용자에게 test1 디렉터리 실행 권한 부여
[oracle@oracle ~]$ chmod u+x ./test1
# test1 디렉터리 접근 가능
[oracle@oracle ~]$ ls -l ./test1
total 12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13 date.txt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4 ex3.txt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15 ex4.txt
# test1 디렉터리에 쓰기 불가
[oracle@oracle ~]$ cp ./test1/ex3.txt ./test1/new.txt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test1/new.txt’: Permission denied
# 사용자에게 test1 디렉터리 실행 권한 부여
[oracle@oracle ~]$ chmod u+w ./test1
# test1 디렉터리에 쓰기 가능
[oracle@oracle ~]$ cp ./test1/ex3.txt ./test1/new.txt
[oracle@oracle ~]$ ls -l test1
total 16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13 date.txt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19 18:14 ex3.txt
-rw-rw-r--. 1 oracle oracle 150 Nov 19 18:15 ex4.txt
-rw-rw-r--. 1 oracle oracle 29 Nov 20 01:50 new.txt'Courses > 아이티윌 오라클 DBA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51121 TIL (0) | 2025.11.21 |
|---|---|
| 251119 TIL (0) | 2025.11.19 |
| 251118 TIL (0) | 2025.11.18 |
| 251117 TIL (0) | 2025.11.17 |
| 251114 TIL (0) | 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