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rcuit Switching and Packet Switching

2023. 9. 28. 02:10전공/네트워크

Switched Communications Networks

  • switching node(교환노드)는 노드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교환 시설을 제공
  • stations :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장치들
  • nodes : 통신을 제공하는 교환 장치들
    • 전송 링크로 연결됨
    • point to point로 전용됨
    • FDM와 TDM을 사용하여 다중화됨 
  • 네트워크 안에 있는 요소들은 node
  • 네트워크 밖에 있는 요소들은 station
    • station은 end user
    • end user의 종류 : PC, Server, Mainframe(대형컴퓨터)
    • 네트워크의 고객이 될 수 있음
    • 고객들은 또 다른 고객들과 통신이 가능해야 함 ⇒ 네트워크 필요
  • 네트워크 주요 구성 요소 : node, link
  • Switching node(교환노드) : 노드와 노드 간에 연결되어 있음
    • switching : 데이터가 왔을 때 원하는 목적지에 forwarding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
  • 노드의 두 종류 : 스테이션과 연결된 노드, 다른 노드와 연결된 노드(node fiber)
  • 교환노드 간의 연결은 부분 연결(partially connected)
    • Fully connected는 노드 간의 point to point연결
    • Fully connected의 문제점 : 링크의 수가 많이 듦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가격부담이 큼
    • 부분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source와 destination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path가 필요
  •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기능 : 중복성(Redundancy)
    • 중복성 :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
    •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는 end device 간에 중복되는 path를 가지도록 함
    • 한 링크가 고장 났을 때 다른 링크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Circuit Switching(회선 교환 방식)

  • 두 개의 스테이션 사이(source & destination)에 전용 path가 설정됨
  • 3단계로 이루어짐
    1. 회선 설정(establish)
      • 전화할 때 다른 사람과 통신하기 위해 다이얼링을 함
      • 정보가 교환기로 감
      • 교환기는 정보를 프로세싱하여 목적지를 찾아냄
        교환기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switch가 무엇인지 앎
      • 쌍방에 신호음을 알려줌
      • 상대방이 들으면 회선이 전용으로 할당됨
        (프로세싱 후 자원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대방이 통화 중인지 확인 후 자원 할당)
    2. 데이터 전송(transfer)
      • 상대편이 수화기를 들으면 데이터를 주고받음
    3. 자원 해제(disconnect)
      • 통화가 끝나면 수화기를 놓음 → 자원 해제
      • 자원이 해제되면 다른 사용자가 같은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음
  • 음성통신에 맞춰서 만들어짐
  • 문제점
    • 비효율적임 (특히 데이터 통신에서)
      • 한 쌍의 스테이션들이 서로 통신하지 않더라도 자원이 할당되어 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사용할 수 없음 → 낭비
    • 통신하기 위해 회선을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 : call set up 또는 connection set up 과정
  • 장점 : 연결이 이뤄지고 나면 자원이 하나의 Source & destination 쌍에 전용되므로 데이터 전송이 분명해짐
    • Source와 destination이 중간에 여러 링크와 스위치를 거치지만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통신하므로 지연이 없음 → 실시간 통신에 적합

Public Telecommunications Network(공중 회선 교환망)

  • 구성요소 : station(전화기), office(교환기)
  • 교환기 종류 : End Office(로컬 교환기), Long-distance Office(시외 교환기)
    • 통신망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짐(시외 교환기는 로컬 교환기의 상위 단계)
  • Trunk :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의 연결, 일반적으로 용량이 큼, 다중화 기법 사용(frequency division, time division)
    • 다중화하는 이유 : 하나의 physical link를 통해 다수개의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물리적 링크는 동시의 다수의 source & destination쌍을 수용할 수 있음(다수의 source & destination 쌍이 하나의 물리적 링크를 공유할 수 있음)
  • Subscriber : 단말기를 총칭(전화기, PC, Fax 등)
  • Subscriber loop : subscriber와 교환기 사이의 연결
    • 전화기와 교환기 사이에 ADSL방식 사용
  • Access network : 가입자 망
    • TP를 주로 사용
    • 광성유로 바꾸고 싶어 함 fiber to the home(ftth) → 다양한 서비스 제공 가능
  • Core network :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 연결
  • PBX (private branch exchange) : 사설 교환기

Circuit Establishment

  • 회로 설정 예
  • End Office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 a와 b는 같은 지역에 있는 전화기
  • c와 d는 장거리 교환기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경우 : 다른 두 도시 가입자 간의 통신

Circuit Switch Elements

  • 교환기의 구조를 보여줌
  • 실제 교환기는 일종의 컴퓨터임(특수 용도 컴퓨터)
    • 교환기 내부에 수백 개의 프로세스가 들어가 있는 구조, 대용량 메모리와 보조 메모리를 가짐
    • 교환기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만들기 쉽지 않음
  • 3가지 구성 요소
    • Digital switch : source와 destination 사이의 연결 설정
    • Control Unit : 어떤 것이 연결될 것인지 결정 내려 줌
    • Network Interface : 두 개의 다른 기능을 갖는 블록 사이의 갭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
      외부 장치들과 교환기를 연결시키기 위해 interface필요

Blocking or Non-blocking

  • switching에서 중요한 성질
  • Blocking : 두 스테이션이 사용 가능한 상태에 있지만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
    • 서비스의 품질을 낮춤
    • 이상적인 경우 blocking이 발생하지 않아야 함
  • → 네트워크의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네트워크의 모든 path가 사용되고 있음)
  • Non-blocking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원이 많이 필요, 가격 비쌈
  • → 경제성 있는 네트워크 필요 ⇒ 완벽한 non-blocking이 아닌 거의 non-blocking 한 네트워크를 만들어 사용
  • source와 destination쌍이 이상적인 상태면(non-blocking) 항상 통신할 수 있음

Space Division Switch(공간 분할 스위치)

  • crossbar switch
  • non-blocking switch의 대표적인 예
  • 어떤 source & destination 쌍도 놀고 있다면 언제나 통신이 가능
  • 문제점
    • source & destination쌍을 늘리면 스위치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
      • n^2개의 스위치 필요
    • 이용률이 높지 않음 → 비효율적
      • 최대 이용률 : n/n^2

Multi Division Switch(다단 스위치)

  • 3 Stage Space Division Switch
    • crossbar switch보다 스위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음
    • 문제 : blocking발생
    • 해결방법 : 중간 단의 스위치 개수를 늘림
    • 최적의 스위치 개수를 정해야 함

Time Division Switching

  • 현대의 디지털 스위치들은 time division 개념을 사용함
  • 특정링크를 둘이 공유할 때 시간을 분할
  • 하나의 교환기가 공간 스위치와 시간 스위치를 조합해서 사용하기도 함
  • source와 destination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지 않음 → 시간을 나눠서 쓸 수 있음
  • 채널 : A 슬롯들의 모임, B슬롯들의 모임
  • 위 그림의 경우 하나의 physical link가 2개의 채널 제공
  • 메모리 이용
  • 메모리에 써넣을 때 주소와 읽어올 때 주소가 다름
  • 그 주소를 switch control unit이 발생시킴
  • Interchange(상호교환)이 일어남
  • Time division switch는 메모리를 이용하고 switching이 일어나기 위해서 두 번의 access time이 필요(쓰기, 읽기)
  • switching 속도는 메모리의 access time에 의해 결정됨

Softswitch Architecture

  • software machine 컴퓨터
  • 특수목적 컴퓨터 ⇒ 교환기
  • 최근의 경향은 softswitch architecture를 가짐
  • 장점
    • 기능을 다양화할 수 있음
    • 새로운 기능을 쉽게 구현 가능
    • 가격을 낮출 수 있음
  • 구성요소
    • Media gateway(MG) : switching을 제공하는 곳
    • Media gateway controller(MGC) : switching을 제어하는 곳
      • call을 처리해서 control 신호를 만들어내고 원하는 switch 기능 수행

Traditional Circuit Switching

  • 교환기
  • Call Processing : 다이얼링 하면 다이얼 정보를 가지고 목적지가 어디고, 목적지가 비어있는지 처리하여 switching
  • Circuit switching fabric : switching을 실행하는 곳
    • Crossbar 스위치는 부피가 크고 전력소비가 큼 → 전자적인 소자로 바꿈(트랜지스터)
    • 트랜지스터는 스위칭하는 기능을 가짐
    • 크로스바 스위치를 switch fabric이라고 이야기함
  • Switch Control Unit : 스위치 on/off 컨트롤
  • Switch fabric에 디코더 사용

Packet Switching

  • circuit switching은 음성 통신을 위해 만들어짐
    •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면 비효율적
    • 이용률이 적음
    • 데이터 전송속도의 변환이 불가능
  • Pacekt Switching은 데이터 통신에 최적화된 방식
  • Packet : small block, 제한된 사이즈의 블록
  • 패킷 단위로 전송이 이루어짐
  • 패킷은 데이터와 데이터의 주인(송신지, 수신지)을 가져야 함(컨트롤 정보)
    • User data는 큰 메시지의 한 부분
  • 큰 메시지는 패킷으로 나눠서 보냄
    • 패킷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에러가 일어날 확률이 낮기 때문
    • 에러가 일어나더라도 재전송할 양이 적음
    • 버퍼의 사이즈는 유한하기 때문
    • 공평성을 위해(한 사람이 오랫동안 자원을 차지하지 않도록)
  • Control Information은 source와 destination 주소를 포함하고 routing에 사용됨
    • Routing : source에서 destination까지의 경로
  • Packet switching은 데이터 전송속도 변환이 가능
  • Store-and-forward방식
    • 패킷을 받아들이고 저장한 후 다음 노드로 전송
  • source에서는 데이터를 패킷화 함
  • control information을 붙임(header)
  • sequence number를 붙임 - destination에서 패킷을 받아 순서대로 조립해야 하므로
  • 헤더는 오버헤드이므로 패킷 사이즈를 정할 때 오버헤드를 고려해야 함

 

장점

  • 라인의 이용률이 좋음
    •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만 자원을 사용
    • Multiplexing(다중화)
  • 데이터 전송속도의 변환이 가능하여 채널 속도에 맞춰서 전송속도를 바꿀 수 있음
  • Circuit Switching 망에서 트래픽이 많아지면 일부 call이 막힘(blocking)
    • 버퍼의 사이즈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버퍼가 꽉 차 있을 경우 패킷이 폐기됨 → 버퍼가 길어야 좋지만 버퍼가 길면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 Packet switching은 망이 바쁘더라도 일단 call을 받음(but 지연이 증가)
  • 우선순위 제공이 가능
    • 늦게 들어왔더라도 우선순위가 높은 버퍼에 있는 패킷을 먼저 처리
    • 우선순위가 낮은 것은 전송될 기회가 없을 수 있음 → aging기법을 사용(나이가 들면 우선순위 높여줌)

Switching Techniques

  • Station은 긴 메시지를 패킷 단위로 나눠서 보냄
  • 네트워크에서는 하나하나의 패킷으로 보내짐
  • Packet Switching은 두 가지 방식 존재
    • Datagram : 패킷 단위로 전송이 이루어짐
      • 패킷이 있으면 일단 보냄
      • 각각의 패킷은 독립적으로 보내짐
      • 순서가 바뀌어서 도착한 → 목적지에서 조립되어야 함
    • Virtual Circuit : 회로를 설정하고 통신
      • 관련된 패킷은 같은 경로를 통해 보냄
      • 전송 전 가상의 회선 설정을 위한 시간 필요(call set up)
      • 가상회선을 통해 관련된 패킷이 보내지므로 순서가 보장됨
      • 회로를 설정한다는 것이 자원을 전용한다는 것이 아님
      • 소프트웨어 설정이 이루어짐,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
  • 큰 메시지를 보낼 때 하나로 보내지 않고 작은 사이즈로 잘라서 보냄
    • 자른 단위 : 패킷
    • 잘라서 보내는 이유
      • Buffer : 메시지가 길면 받는 버퍼의 크기도 커야 함
      • Error : 긴 메시지를 보내면 성공적으로 전송할 확률이 낮음, 에러가 일어났을 때 재전송할 분량이 김
      • Fairness : 자원을 공유하는데 공평성이 어긋남, 긴 메시지를 보내면 그 메시지를 보내는 동안 다른 메시지는 전송할 수 없음

Datagram

  • 전송할 때 수신지에서 패킷을 받아 순서대로 맞춰 조립하기 위해 순서번호(sequence number) 필요
  • 재조립(reassemble)
  • 데이터그램은 관련된 패킷이더라도 각자 알아서 전송됨
  • 전송하기 전에 아무 일도 하지 않음
    네트워크에 패킷을 넣고 각각의 노드들은 헤더를 보고 채널을 결정해서 출력
  • 순서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end node에서 순서를 재조정하는 부담이 있음
  • 많이 사용되지 않음 - 에러 컨트롤과 플로우 컨트롤이 어려움

Virtual Circuit

  • 가상의 path가 설정된 후 통신
  • 관련된 패킷은 같은 path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순서가 보장됨
  • 에러 컨트롤이 용이
  • 패킷을 좀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음 - 프로세싱 타임이 적음
  • 패킷에 virtual number를 부여하고 그 번호를 각각의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
  • 라우팅 테이블을 보면 패킷이 어느 아웃풋으로 들어가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음
  •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해서 path를 매핑시켜 줌

Datagram 장단점

장점

  • 전송하기 위해서 취하는 행동(call set up)이 없음
  • 융통성 있음
    • 가다가 못 가면 돌아서 갈 수 있음
  • 신뢰성이 높음

단점

  • 순서가 보장되지 않음
  • 에러 컨트롤이 어려움
  • 각 노드는 데이터그램을 받으면 처리해서 원하는 포트로 내보내야 하는데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림

⇒ 짧은 정보를 보낼 때 적합

Virtual Circuit 장단점

장점

  • 순서가 보장됨
  • 중간 노드에서의 처리가 단순

단점

  • 융통성이 없음
    • 중간에 고장이 나면 회로를 다시 설정해서 보내야 함
  • 패킷을 보내기 전에 사전작업이 필요 : virtual circuit을 설정하는 과정(라우팅 테이블에 등록하는 과정)

⇒ 긴 메시지를 보낼 때 적합

Packet Size

  • 패킷은 작을수록 좋지만 각 데이터는 header와 trailer를 붙여줘야 하므로 작을수록 오버헤드 증가
  • 노드 관점에서 작을수록 처리량 증가
    • 패킷을 많이 나눴을 때 받는 입장의 노드에서는 인터럽트가 많이 발생
    •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한 오버헤드 존재
  • 적절한 사이즈가 존재 → 찾아야 함
  • 전파지연은 거리함수
  • 신호의 전달 속도는 정해져 있음
  • 전송시간은 packet size, data rate(전송속도)
  • 데이터를 많이 자를수록 병렬성이 높아짐 but 오버헤드 증가 → 적절한 패킷 사이즈 필요

Event Timing

Comparison of Communication Switching Techniques

Circuit switching

  • 자원을 전용
  • 데이터의 연속적 전송
  • 상호연동 서비스(실시간 서비스)
  • Called party(전화를 받는 쪽)이 바쁘면 바쁜 신호가 옴
  • 메시지 loss는 사용자가 책임
  • 속도나 코드를 변환할 수 없음
  • 고정 대역폭
  • Call setup 이후 오버헤드 없음

Datagram Packet Switching

  • 자원을 공유
  • 패킷 전송
  • 상호연동 서비스(실시간 서비스)
  • 패킷이 도착하지 않으면 송신자가 알 수 있음
  • 네트워크가 각 패킷에 대해 책임이 있음
  • 속도, 코드 변환
  • 가변 대역폭
  • 각 패킷마다 오버헤드

Virtual Circuit Packet Switching

  • 자원을 공유
  • 패킷 전송
  • 상호연동 서비스(실시간 서비스)
  • 송신자는 연결의 거절을 알 수 있음
  • 네트워크가 패킷 순서에 대해 책임이 있음
  • 속도, 코드 변환
  • 가변 대역폭
  • 각 패킷마다 오버헤드

External Network Interface

  • 네트워크 바깥쪽
  • Internal network는 datagram과 virtual circuit 모두 사용 가능
  • External Network는 virtual circuit 사용
  • ITU-T : 표준 인터페이스
  • ISDN : integrated digital network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서비스 제공
  • 3개의 layer : physical, link, packet

X.25 표준 패킷 스위칭

Circuit vs Packet Switching

  • 성능은 다양한 지연에 영향을 받음
    • 전파지연 : 거리함수, 거리에 따라 결정됨
    • 전송시간 : 전송속도, 패킷 사이즈 비트
    • node delay : 처리 지연
  • 특징
    • circuit switching : 투명성
    • packet switching : 오버헤드

'전공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ing in Switched Data Network  (0) 2023.09.28
Asynchronous Transfer Mode  (0) 2023.09.28
Multiplexing  (0) 2023.09.16
Data Link Control Protocols  (0) 2023.09.16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0) 2023.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