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Speed LANs
2023. 9. 28. 03:41ㆍ전공/네트워크
Introduction
- 기술적인 빠른 변화
- LAN의 사용처 많음
- 빠른 속도 필요
- 10M->100M(Fast)
- Fast and Gigabit Ethernet
- Fiber Channel
- High Speed Wireless LANs
High speed LAN의 특징

CSMA/CD Precursors
ALOHA
- 최초의 버전
- 패킷 라디오 네트워크를 위해 개발됨
- 스테이션이 언제라도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음
- 잘못된 프레임을 받을 수 있음 -> 무시
- 이용률이 낮음 최대 이용률 18%
-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slotted ALOHA방식 나옴
Slotted ALOHA
- Time slot으로 나눔
- Slot에 동기 되어 전송
- 다음 slot이 시작할 때 전송
- 망가지는 크기가 ALOHA의 1/2
- 최대 이용률이 38%
- 망의 상태를 보지 않음
- 그다음 방식으로 CSMA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D Precursors
- 매체를 읽어보는 것
- LAT(Listen and talk)
- 매체에 캐리어가 있는지 센싱 해보는 것
- 캐리어가 있으면 바쁜 상황이고 없으면 비어 있는 상황
- 둘 이상이 동시에 접근할 수 있음
- 망의 사이즈가 클수록 충돌확률이 높음
- 이상적인 상태일 때 전송
- Acknowledgment를 기다림
- 안 오면 충돌이 일어났다고 보고 재전송함
- 이용률이 ALOHA보다 높음
Nonpersistent CSMA
1-persistent
- 계속적으로 센싱함
- Idle을 발견하면 전송
- 망에 트래픽이 많은 경우 충돌 확률이 높음
P-persistent
- IDLE이 발견되면 p확률로 전송됨
- 확률에 따라 성공률이 달라짐
Nonpersistent
- 기다렸다가 센싱함
- 낭비 존재
- 매체가 idle이면 전송
- 매체가 바쁘면 얼마의 시간 동안 기다림
- 단점
- 드문드문 접근하기 때문에 낭비 발생
1-persistent CSMA
- 매체가 idle 하면 전송
- 바쁘면 idle 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listen 하다가 idle 하면 바로 전송
- 두 개 이상의 스테이션이 기다리고 있으면 충돌
P-persistent CSMA
- 전송할 확률 p 기다릴 확률 1-p
Value of p
- np(number of station * p) < 1
Description of CSMA/CD
- CSMA/CD
- Collision detection
- CSMA는 충돌이 발생한 것을 다른 것들이 모름
- 충돌이 감지되면 전송을 멈추고 센싱
-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충돌 감지 필요
- 충돌 감지되면 후속 조치
- 전송을 멈추고 재전송
- medium이 idle 하면 전송, busy 하면 2번
- 채널이 idle 할 때까지 listen 하다가 idle해지면 즉각 전송
- 전송하는 동안 충돌이 감지되면 충돌의 발생을 처음 발견한 스테이션(노드가) jamming신호 발생 jamming신호를 받은 모든 노드들은 전송을 멈춤
- 임의의 시간 동안 재전송하기 위해 기다림 -> backoff 알고리즘 사용, 충돌이 일어나면 기다리는 시간을 늘림
CSMA/CD Operation

- T0 순간에 a가 양방향 전송
- T1시간 후
- Terminator는 신호를 흡수
- C가 전송
- T2시간
- 충돌 발생 c가 감지
- T3충돌발생을 알고 전송 멈춤
Which persistence Algorithm
- 1-persistent 충돌이 일어나도 멈추고 재전송
- 효율적
Binary Exponential Backoff
- 기다리는 시간 설정
- 처음에 기다릴 때 1의 시간을 기다렸다면
- 충돌이 일어나면 다음에는 2 그다음에는 4시간 동안 기다림
Collision Detection
On baseband bus
- 디지털 신호 모듈레이션 하지 않은 원래 신호 전송
- 반대는 broad band : 아날로그 신호
- 디지털 신호일 때는 데이터 충돌이 일어나면 전압의 레벨에 변경이 일어남
- 아날로그 신호는 주파수가 변경됨
- 충돌이 발생하면 전압이 높아짐
- 신호가 거리에 따라 감쇄가 일어남
- 500m나(10 Base5) 200m(10 Base2)로 거리를 제한함
- 10 : 데이터 전송속도 Base : 시그널링 방식 5,2 거리
On twisted pair(star_-topology)
- 스위치 또는 허브 사용
- 두 개 이상의 포트가 액티브 상태이면 충돌
IEEE 802.3 MAC Frame Format

- 이더넷의 프레임이 가변길이
- 프레임 길이를 알려줘야 함 -> Length필드 존재
- Pad
- 데이터의 최소길이는 46 최대길이는 1500
- 전송할 데이터가 최소길이가 안될 때 더미 비트를 붙여서 46바이트를 만들어야 함 그때 pad를 사용
- 최소길이 512비트 왜 이더넷 프레임에서 최소비트를 정해야 하는가
- 충돌을 감지하기 위해
- 전송하는 동안에도 충돌이 일어나는지 감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전송하고 있어야 함
- 2*전파시간
- 최소 길이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스테이션 간의 전파 시간의 2배에 의해 결정됨
10 Mbps Specification (Ethernet)

- 케이블이 두꺼우면 손실이 적어 멀리 전송 가능
IEEE 802.3 10 Mbps Physical Layer Medium Alternatives

100 Mbps Fast Ethernet

- 4B5B 4비트를 physical layer에서 5비트로 변환해서 전송
- 4비트는 16, 5비트는 32
- 32개 중에 16개 선택해서 사용
- hamming distance가 큰 것을 선택
- 두 개의 코드 간의 다른 비트 수가 많은 것을 선택해서 사용
- 에러가 일어나는 것을 쉽게 감지 가능
- Hamming distance가 2이면 한 비트 에러는 다 검출됨
- 3이면 한 비트 에러는 감지뿐만 아니라 정정도 가능
- 2비트 에러 정정하려면 hamming distance는 5여야 함
-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사이의 거리 최대는 100m
- 네트워크 사이즈는 200m fiber는 400m
100 BASE-X
- 4B/5B
- FDDI
- 매체의 속도는 5/4 = 125 Mbps
100 BASE-T4
- 3 UTP 사용
- 8B6T
- Ternary : phase3개 -1 0 +1
Full Duplex Operation
- 보내면서 동시에 받을 수 있어야 함
- 용량이 2배 여야 함
Mixed Configurations
- 네트워크에 10 Mbps 100 Mbps 등의 장비가 다 연결됨
- 프로토콜 종류 하나 : 이더넷
Gigabit Ethernet Configuration

- 하나의 네트워크에 다양한 링크 속도가 존재 : mixed configuration
Gigabit Ethernet
Differences
- 같은 프레임의 길이라 하더라도 시간관점에서의 길이가 다를 수 있음
- 데이터 속도가 다르기 때문
- 너무 자주 바뀌면 오버헤드가 많이 생겨서 안 좋음
- 기존의 이더넷과 차이점
Carrier extension
- 비트 수를 늘림 512 -> 4096비트
Frame bursting
- 원래의 이더넷은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고 나면 다른 노드에게 차례가 돌아감
- 짧은 패킷들은 여러 개의 연속해서 전송할 수 있는 모드를 만듦
- 스위칭 허브 사용 - 전용 패스설정
Physical

- 광섬유
- Single mode : core의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
- Multi mode : core의 직경이 50 마이크로미터, 지연이 길다
- 전송속도, 전송 거리에 영향을 미침 -> 오차 유발
- 오차를 줄이기 위해 거리 제한
- Tp
10 Gbps Ethernet
- 더 고속의 이더넷 요구
- Backbone에 사용
- 용도는 다양
- ATM과 다른 기술과 경쟁대상
- ATM의 장점 서비스의 차등화,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 이더넷 : best effort service -> 서비스의 차등화 x
- 장점 단순함, 가격 경쟁력이 있음
- LAN, MAN, WAN에도 사용 가능
- 장점
- 싸다
- ATM은 오버헤드가 큼
- ATM은 고정길이 패킷 사용(셀), 셀 사이즈 53바이트 중 헤더가 5바이트, 헤더의 오버헤드 큼
- 대역폭을 낭비
- 이더넷 패킷은 최대 1518바이트
- 서비스 차등화 제공
- QoS
- Traffic policing
- 다양한 optical 인터페이스 사용
10 Gbps Ethernet configurations

- Backbone switch 간의 연결은 10 Gbps
- Workgroup switch
- 탑에 갈수록 전송속도 빨라짐
- 다중화가 이루어짐
10 Gbps Ethernet Options

- 파장이 860nm 면 short
- 1310nm
- 저손실 영역
- 가장 좋은 대역 1550
- 가장 멀리 전송 가능
100 Gbps Ethernet
- Wired LAN을 위한 것
- 지역 이더넷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것
- 가격이 저렴하고 신뢰성 있고, 다른 네트워크하고의 연동이 쉬움, 다양한 생산자들이 있음(경쟁이 심함->가격을 낮출 수 있음)
100 Gbps Ethernet

-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기 위해 네트워크의 용량이 커야 함
Multilane Distribution
- 거대한 용량을 다수의 유저가 사용
- Virtual lane
- 다수의 유저 각각
- Inverse multiplexing(demultiplexing) 형태
Multiline Distribution for 100 Gbps Ethernet

- 형태에 따라서 전체의 용량이 100 Gbps
- 각각의 주인을 다를 수 있음
- Virtual lane으로 분리
- Time division
- Time slot
- 다수의 유적에게 동시에 서비스하는 컨셉
- 멀티플렉싱 되어 있는 것을 디멀티플렉싱 해서 전송되는 형태
Media Options for 40 Gbps and 100 Gbps Ethernet

- 40 GBase-KR4
Multilane Distribution for 100 Gbps Ethernet

A VLAN Configuration

- 물리적인 배치와는 상관이 없음
- 소프트웨어적으로 결정
'전공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reless LANs (0) | 2023.09.28 |
---|---|
Local Area Network Overview (0) | 2023.09.28 |
Cellular Wireless Networks (0) | 2023.09.28 |
Congestion in Data Networks (0) | 2023.09.28 |
Routing in Switched Data Network (0)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