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mission Media
2023. 9. 16. 03:14ㆍ전공/네트워크
전송 속도와 거리를 결정하는 설계 요소
- 대역폭
- 대역폭이 클수록 고속 전송이 가능
- 전송 손상
- 전송 손상은 퀄리티를 낮춤
- 전송 거리를 제한
- 전송 환경이 나쁘면 전송 속도 낮아짐
- 간섭
-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겹치면 다른 신호에 영향을 미침 → 노이즈로 동작 → 신호의 질을 낮춤 → 신호 왜곡
- 수신기(receiver)의 개수
- 수신기가 많아지면 신호가 여러 군데로 나눠짐 → 신호의 세기 낮춤 → 신호의 질 낮춤
유선매체(Guided medial, wired media, bounded media)
Twisted Pair(TP)
- 가장 싸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 일반적으로 전화선으로 사용
- 건축에 내장되어 있는 링크이므로 설치하는데 부가적인 가격이 들지 않음
- 음성 전송하는데 적합
-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음 ← 고속을 이루기 힘듦
- 요즘은 통합망(음성 + 데이터 + 멀티미디어 + 방송) 사용 → TP로는 용량 부족 → 각 가정까지 광섬유 설치 → FTTH(fiber to the home)
- 두 개의 분리된 구리 선이 규칙적으로 꼬아져 있음
- 한 쌍의 선이 한 쌍의 링크를 구성
- 여러 개의 구리 선 쌍이 묶여서 번들로 되어있다.
- 아날로그와 디지털 모두 전송 가능
- 전송하는데 손상이 발생하므로 제한된 거리(5~6km)마다 증폭기를 사용해야 함 Repeater는 2~3km마다 사용
- 거리에 제한, 대역폭에 제한적
- TP를 통해 100m이내에서 100메가까지 전송 가능
- 간섭과 노이즈에 민감
Unshielded Twisted Pair(UTP)
- 기존의 전화 라인
- 가격이 싸다
- 연결이 쉽다
- 전자기적 간섭에 민감
- 더 높은 속도를 이루기 위해 더 조밀하게 꼬아야 한다.
Shielded Twisted Pair(STP)
- 노이즈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매체의 밖을 감싼다.
- 더 높은 속도
- 성능은 좋고 가격은 비쌈
- 설치가 어려움 ← 두껍고 무거움
- TP를 많이 꼬을수록 좋다. → 가격이 비쌈
Crosstalk
- 한 군데 있는 것이 다른 곳에 유기되는 것
- 인접해서 지나가는 라인의 신호가 유기되어 들리는 것
Near-End Crosstalk(NEXT)
- 하나의 라인에서 다른 라인에 유기되는 것 (coupling에 의해서)
- Next loss가 클수록 노이즈가 커진다.
- ACR = attenuation to crosstalk ratio = attenuation/crosstalk
Coaxial Cable(동축 케이블)
- 가운데에 도체가 있고 바깥쪽에 도체가 또 있는 형태, 그 가운데에 부도체가 있음
- 바깥이 싸여 있으므로 보호 효과가 있어 간섭이나 노이즈에 강함
- TP에 비해 상대적으로 멀리 전송 가능, 고용량, 더 높은 속도
- TV 방송 분배, 장거리 전화망(교환기와 교환기 사이(trunk)), 고속 LAN에 사용
특징
- TP에 비해 대역이 넓다. → 고속
- 감쇠와 노이즈에 제약을 받음
- 아날로그 신호 전송 가능
- 증폭기 필요
- 주파수 대역(스펙트럼)이 넓음 (500MHz)
- TV 채널 하나가 6MHz의 대역폭 필요
- 디지털 신호 전송 가능
- 1Km마다 Repeater필요
- 전송 속도가 높아지면 거리가 짧아짐
- 전송 속도가 높을수록 주파수가 높음 → 감쇠가 큼
Optical fiber(광섬유)
- 단면을 쳐다보면 core, cladding, jacket(피복)이 있음
- 코어를 통해서 빛 전송
- 코어의 재질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 광섬유는 얇을수록 좋음
- 플라스틱 광섬유는 두꺼움 → 유리가 좋음
- 전기적인 신호를 빛으로 바꾸기 위해 광원 필요
- 광원 종류 : 레이저, LED
- 레이저가 LED보다 좋음
- 전반사가 일어나면 손실 없음
- 장거리 통신에 사용
- 손실, 감쇠가 적으므로 증폭기나 repeater 없이도 멀리까지 전송 가능
-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트렁크)의 용량이 커야 함
- 유선에서 가장 각광받고 있는 매체
장점
- 용량이 크다
- 전송속도를 수백 킬로로 올릴 수 있다.
- 사이즈가 작고 무게가 가볍다
- 10μm = 10−5m
- 감쇠가 적다
- 전자기파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광섬유는 빛을 전송
- 빛은 전기적인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음
- 노이즈와 간섭에 강함
- 도청하기 어려움 ← 빛을 분기하기 어려워 유기되지 않음, 커플링 되지 않음
- Repeater spacing(repeater와 repeater사이의 거리)을 넓게 할 수 있음 → repeater를 적게 사용할 수 있음 → 가격 줄이고 에러를 줄임
광섬유 용도
- 장거리 트렁크
- Metropolitan(중거리) 트렁크
- 시골의 환전소
- Subscribger loop : 교환기에서 집(전화기)까지 (FTTH)
- LAN
광통신
- 빛을 전송
- 빛이 바깥으로 새지 않고 안에서 이동
- 빛이 새어나가면 손실 발생
- 주파수 영역이 1014~ 1015
- 광섬유를 사용하기 위해 전기적인 신호를 빛으로 바꿔야 함 → 광원 필요
- LED, Laser diode
- E/O conversion : 전기적 신호를 빛 신호로 바꾸는 것
- O/E conversion : 빛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것
- 빛 = photon(광자)를 받아서 0인지 1인지 해독
- LED는 광원 자체가 큼, 광섬유는 아주 얇음 → 빛의 일부만 전송되고 나머지는 손실
- LED는 가격이 싸다
- 동작 영역이 크다
- 생명이 길다
- Laser는 효율적이므로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올릴 수 있다.
광섬유 종류
- Single mode
- multimode보다 좋음
- core가 얇음(10μm) → 빛이 가운데로만 감
- 만들기 어려움 → 비쌈 But 기술의 발전으로 가격이 많이 낮아짐
- multimode보다 좋음
- Multimode
- core가 두꺼움(50μm) → 같은 순간에 출발한 빛이라도 이동하는 경로가 다르므로 다른 순간에 도착함 → 원래의 신호를 복원하기 어려움 → 에러 발생
- source와 destination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시간 간격이 더 커짐 → 거리를 제한하는 요소
- Step-index multimode
- Graded-index multimode
- core를 multi layer로 만듦 → core의 층수가 여러 개 → 굴절이 여러 번 일어남 →둥글게 굴절 → 시간차가 줄어듦 → step-index multimode보다 성능이 좋음
광섬유에서 주파수 사용
파장 | 주파수 | Band Label | 광섬유 종류 | 사용 | 광원 |
820~900nm | 366~333THz | Multimode | LAN | LED | |
1280~1350nm | 234~222THz | S | Single mode | Various | 레이저 |
1528~1561nm | 196~192THz | C | Single mode | WDM | 레이저 |
1561~1620nm | 192~185THz | L | Single mode | WDM | 레이저 |
- WDM(파장 분할 다중화)
- 광섬유 하나로 여러 명에게 통신
- ex) 무지개 빛이 한꺼번에 다 들어오면 흰색(구별 불가능) → 프리즘 통과시키면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므로 나열됨
- 양방향 통신을 하기 위해 다중화하지 않는 이상 보내는 선과 받는 선이 따로 필요
- 다중화 기술 사용하면 하나의 선으로 가능
유선매체에서의 감쇠
- 감쇠는 주파수의 함수
-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쇠가 증가
- 구리 선의 직경이 두꺼울수록 좋음 → 단면적이 넓을수록 저항이 적음 → 전달 능력이 좋음
- 저손실 영역
- 광섬유 특성곡선에서의 변곡점
- 파장에 따라 감쇠가 다름
-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영역
무선 통신 주파수
- 1GHz보다 낮으면
- Radio
- omnidirectional(다방향성) → 방송에 적합
- 1GHz보다 높으면
- Microwave
- 주파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직진성이 강함 → point to point 통신에 적합 → 위성 통신에 사용
- 주파수가 높으면 더 높은 대역폭 확보 가능 but 감쇠가 커짐
- 아주 높은 주파수 대역
- Infrared(적외선)
- 직진성이 더 강함
- point to point와 multipoint통신에 사용
- 벽 투과 불가능
- 방 안에서만 통신 가능(단거리 통신)
- 가시광선은 적외선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 → 고속
안테나
- 무선 통신은 안테나와 안테나 사이의 통신
- 전송 또는 수신을 하기 위해 안테나 필요
- 하나의 안테나가 전송, 수신 모두 가능
- 전자기적 에너지를 내보내고 모으는 데 사용하는 전기 도체
-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전자기파 형태로 전송
- Transmitter를 통해 radio frequency 전송
- 전자기파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꿈
퍼져나가는 형태
- 모든 방향으로 퍼져 나감
- 모든 방향에 대해 정확하게 똑같이 퍼져 나가지는 않음
- Isotropic antenna(등방성 안테나)
- 한 군데에서 여러 군데로 퍼져 나감
- 모든 방향으로 똑같이 퍼져 나감
- 등고선 전위가 같은 지점은 에너지가 같은 지점
접시 안테나(Parabolic antenna)
- Microwave는 직진성이 강함 → 안테나가 서로 마주 보고 있어야 함 → 접시 안테나 사용
- 타원형
Antenna Gain
- 직진성이 강하지 않으면 손실 발생 → 직진성의 척도를 gain이라 함
- 전송되는 면적 / 전체 면적
- output과 실제로 받아들인 것과의 비율
- 나머지는 손실
- gain 10%이면 손실 90%
- 단위 : 데시벨(dB)
- Effective area에 따라 다름
Microwave 종류
Terrestrial microwave(지상파)
- 지구에 있는 안테나와 안테나 사이의 통신
- 거리가 멀수록 안테나 높이 높아짐 → 더 높아지면 위성 microwave사용
- Parabolic antenna(접시 안테나) 사용
- 직진성이 상당히 높음 → 점 대 점 통신
- 안테나의 높이 중요
- 경우에 따라 중계기가 있을 수 있음
지상파의 응용
- 장거리 통신에 사용, 시외 전화
- 직진성이 강하므로 짧은 거리의 point to point통신에 사용될 수 있음 빌딩과 빌딩 사이
- TV방송에 사용
- Line of sight(los) : 안테나와 안테나의 직진 통신
- 1~40GHz 주파수 영역
- 주파수가 더 크면 감쇠가 큼
- 거리에 따라 감쇠 커짐, 간섭에 영향 많이 받음
- 겨울에 통신이 더 잘되는 이유 : 나뭇잎이 떨어져서
Satellite Microwave(위성파)
- 통신 위성은 microwave relay station이다.
- 지구는 둥글고 장애물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의 높이를 높이다 보면 한계 존재하기 때문에 위성 사용
전송 특징
- microwave는 1GHz이상
- Optimum frequency
- microwave 중에서 1~10GHz 대역
- 현재의 기술을 고려한 최적의 대역
- 상대적으로 노이즈도 적고 손실도 적은 대역
- 위성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 4GHz : downlink(위성에서 지구), bandwidth = 500MHz
- 6GHz : uplink(지구에서 위성), bandwidth = 500MHz
- 4/6GHz대역이 최적이지만 포화 상태라 사용하기 힘듦 ⇒ 12/14GHz 대역 사용
- 더 높은 대역의 문제점 : 감쇠
Radio Frequency
- 30MHz~1GHz
- Broadcast의 성격을 가짐
- Omnidirectional 다방향성
- 높은 주파수는 감쇠가 크므로 짧은 거리의 통신에만 사용
- Broadcast Radio 사용
- FM방송
- 텔레비전 방송(UHF, VHF)
- 네트워크
- Line of sight의 영향을 받지 않음
- transmitter와 receiver사이의 전파되는 경로가 다양할 수 있음 → 수신기에 도착하는 경로 다양
- multipath interference : 같은 순간에 출발한 신호라도 도착하는 시간이 경로에 따라 다름
- 땅이나 물, 건물이나 조각 등에 반사돼서 옴
Infrared(적외선)
- microwave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
- 파장이 짧다
- 벽 투과 X
- 실내에서의 통신
-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직진성이 매우 강함
- 무선 자원은 제한된 자원이기 때문에 주파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허가를 받아야 함 But 적외선은 허가 없이 누구나 사용 가능
- 주파수 할당의 문제도 생기지 않음
- 리모컨에 많이 사용
신호가 전파되는 모양
- 주파수에 따라 전파되는 모양이 다름
Ground-wave propagation
- 지구 모양처럼 구부러져 전파가 이루어지는 형태
- 2 MHz이하
- AM Radio가 해당됨
Sky wave propagation
- 2~30MHz대역
- 전리층에 반사되면서 통신되는 형태
- Line of sight : 마주 보고 통신
- 30MHz이상 장애물 있으면 통신 불가능
Refraction
- 전자기파의 속도는 정해져 있음
- 진공에서 3108m/s (3105km/s)
- 전선 또는 광선을 통해 전파가 일어나면 속도가 3분의 2로 줄어듦
- 2108m/s (2105km/s)
- 매체의 매질이 변경되면 속도의 변화가 일어남
- 굴절의 정도가 파장에 따라 다름
- 공기 중의 밀도가 다르므로 굴절이 일어나고 파가 꺾임
Line of sight Transmission
- 자유 공간에서의 손실
- 손실은 거리 함수
- 전송하는 거리가 멀수록 손실이 심하다
- 주파수가 높을수록 손실이 커짐
- 공기 중에서 수증기나 산소에 의해 신호가 흡수될 수 있음
- multipath interference
- 무선 같은 경우 파가 벽에 부딪히면 반사가 일어날 수 있음 → 수신 측에 도착하는 경로가 여러 개 생길 수 있음
- Refraction
- 대기 중의 밀도가 다르므로 신호의 굴절이 일어남
'전공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ltiplexing (0) | 2023.09.16 |
---|---|
Data Link Control Protocols (0) | 2023.09.16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0) | 2023.09.16 |
Signal Encoding Techniques (0) | 2023.09.16 |
Data Transmission (0)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