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51)
-
Congestion in Data Networks
혼잡이란 혼잡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의 수가 네트워크가 패킷을 다룰 수 있는 용량에 도달하면 발생 혼잡 제어의 목적은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레벨 이하로 패킷의 수를 유지하는 것 데이터 네트워크는 큐의 네트워크이다. 일반적으로 80% 이용률이 되면 문제가 생김 유한한 큐는 데이터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 노드의 큐 각각의 링크는 최소 한쌍의 버퍼를 가짐 하나는 전송버퍼 하나는 수신버퍼 큐의 상호작용 뒤의 큐가 다 차면 앞의 노드가 보낼 수 없음 이상적인 네트워크 이용 실제 - 혼잡 제어 X 혼잡 제어의 매커니즘 Backpressure Choke packet : 혼잡이 발생하면 choke packet을 source에 전송 Implicit : 지연, 폐기, 간접적 Explicit : 패킷에..
2023.09.28 -
Routing in Switched Data Network
Routing in Packet Switching Network 라우팅이 스위치 네트워크를 설계하는데 주요 설계 요소임 네트워크를 통해 엔드노드들 간의 루트를 선택하는 것이 라우팅임 라우팅 알고리즘이 가져야 하는 요구 조건 정확성 단순성 견고성 안정성 공정성 최적성 효율성 Performance Criteria 라우팅 알고리즘 평가 기준 루트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됨 Minimum hop : 가장 간단한 형태 hop : 하나의 노드와 다음 노드 사이 거리가 길더라도 hop이 적으면 서비스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고 봄 최소가격 알고리즘(least cost) 최소가격알고리즘은 융통성이 있어 minimum hop보다 일반적 Elements of Routing Techniques for Packet Switch..
2023.09.28 -
Asynchronous Transfer Mode
The Role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ATM의 역할) ATM은 효율적인 스위칭 방식 통계적 다중화를 기반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는 고정길이 → 고정 길이 패킷 : Cell 작고 고정된 길이(53byte) 고정길이의 패킷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다중화 가능 지연을 줄일 수 있음 지연의 변이도 줄일 수 있음 서비스 품질 향상 연결의존서비스 circuit switching의 성능을 가지면서 packet switching의 융통성과 효율성을 가짐 어떠한 서비스도 제공가능(실시간 or 비실시간) : 데이터, 음성, 비디오 QoS 서비스 품질 제공 우선순위 컨트롤 가능 ATM ITU-T : international tele communication union ATU Forum 다중화 ..
2023.09.28 -
Circuit Switching and Packet Switching
Switched Communications Networks switching node(교환노드)는 노드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교환 시설을 제공 stations :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장치들 nodes : 통신을 제공하는 교환 장치들 전송 링크로 연결됨 point to point로 전용됨 FDM와 TDM을 사용하여 다중화됨 네트워크 안에 있는 요소들은 node 네트워크 밖에 있는 요소들은 station station은 end user end user의 종류 : PC, Server, Mainframe(대형컴퓨터) 네트워크의 고객이 될 수 있음 고객들은 또 다른 고객들과 통신이 가능해야 함 ⇒ 네트워크 필요 네트워크 주요 구성 요소 : node, link Switching node(교환노드) : 노드와 노..
2023.09.28 -
빈 스코프
빈 스코프란? 스프링 빈이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이유는 스프링 빈이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되기 때문 스프링이 지원하는 스코프 싱글톤 :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넓은 범위의 스코프 프로토타입 :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 웹 관련 스코프 request :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 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session :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application : 웹의 서블릿 컨텍스트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 컴포넌트 스캔 자동 등록 @Scope("prototype") @Compone..
2023.09.26 -
빈 생명주기 콜백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코드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티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 스프링 빈은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관계 주입이 다 끝난 다음에야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됨 따라서 초기화 작업은 의존관계 주입이 모두 완료된 후에 호출해야 함 스프링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되면 스프링 빈에게 콜백 메서드를 통해 초기화 시점을 알려주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되기 직전에 소멸 콜백을 줌 스프링 빈의 이벤트 라이프사이클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스프링 빈 생성 의존관계 주입 초기화 콜백 빈이 생성되고, 빈의 의존관계 주입이 완..
2023.09.26